본문 바로가기
게임/스타크래프트1

나의 역사, 나의 문화 그 시절 전부였던 스타크래프트. A-1.

by Neseka 2025. 2. 12.

스타크래프트 그 전설의 첫 걸음.

 

때는 바야흐로 1998년

우리나라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인식의 체계가

완전히 뒤바뀌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일어난다.

 

1991년 설립된 미국의 블리자드라는 게임회사에서

1998년 3월 31일에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을 출시하였기 때문이다.

 

스타크래프트는 출시되자마자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

당시 초등학생이었던 Neseka도 친척집에 갔었는데

사촌 형들이 "이게 새로나온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이래" 하면서

게임을 플레이 하는 모습을 처음으로 구경했었다.

 

실시간 전략 게임

 

스타크래프트는 실시간 전략게임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좀 이상하게 부른다.

이른바 '전략 시뮬레이션'이라고 한다.

해외에서는 군사훈련 연습을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표현하고

스타크래프트 같이 실시간으로 겨루는 게임을

'전략 게임'이라고 한다.

 

시뮬레이션은 말 그대로 모의실험이기 때문에

굉장히 사실 성이 높고 완성도가 높은 게임에

부여되는 것이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실시간으로 전략을 변경해가면서 상황에 맞게 대처해야하는

스타크래프트는 '전략 게임'이 맞다.

 

초창기 스타크래프트

 

블리자드는 우주에서 펼쳐지는 모험과 전쟁을

주요 소재로 삼은 스페이스 오페라게임을 만들고 싶었고

스타크래프트는 그렇게 탄생되었다.

 

스타크래프트는 전략게임 답게

원하는 종족을 선택해야 한다.

총 3가지 종족이 있는데

 

'저그', '테란', '프로토스'이다.

 

하지만 초창기 스타크래프트는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 중 실제 개발 이전의 단계인

프리-알파 버전 즉, 개발 버전 상태일 때 '테란' 없이

'저그', '프로토스' 구도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직접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제품이나 서비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만든 시각적요소인

UI도 지금과 굉장히 많이 달랐다.

 

A-1 결론.

 

이처럼 철저한 준비속에

레전드 게임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앞으로도 계속 자세한 이야기로

스타크래프트를 분석해 볼 것이다.